루나스의 기술공방

[A11-46]멀티미디어 통신 본문

학사학위/독학학위제 - 정보통신학과

[A11-46]멀티미디어 통신

Lunous 2020. 10. 22. 19:22

1. 멀티미디어 개요

 1.1. 개요

 1.2. 특성

 1.3. 압축기술의 발달

 1.4. 대용량저장매체출현

 1.5.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1.6. 정보통신기술의 응용

 1.7. 메타데이터베이스

   정의

    "DBMS가 고유의 기능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DB에 관한 정보를 모은 시스템"

 

    구조

 

    속성정보 + (info model [Relation, E-N Relation, Objects) + App Layer [Production rules] + Analytic Model [Simulation, Optimization, Mathmatical Algorightms])

 

*메타데이터(Metadata) :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Constructed data with purpose) 

   "구조화된 정보를 분석, 분류하고 부가적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그 데이터 뒤에 따라가는 정보들

 

 

   <용어집>

   (1) 시스템 카탈로그   (2) 시스템 뷰   (3) 시스템 테이블   (4) 데이터 사전

 

 1.8. 멀티미디어통신서비스

 1.9. 멀티미디어통신구조

 1.10. 멀티미디어표준의 이해


2.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표현

 2.1. 코드체계

   2.1.1. ASCII

   2.1.2. 한글

   2.1.3. 유니코드

 

 2.2. 색상의 표현방법

   2.2.1. RGB (Red Green Blue)

 - (Red, Green, Blue)의 빛이 사용되는데, 3가지 색이 같이 섞이면 흰색이 된다.

(이를 가법혼합, 가상혼합 이라 부른다.)

 - 0~255 (총256단계, 8비트)

 * 모두 8비트 안으로 표현하는 시스템에서는 (R=3비트, G=3비트, B=2비트)를 할당한다.

  파란색이 사람이 가장 둔감하게 시인하는 색이라서 그렇다.


   2.2.2.HSB (Hue-Saturation Brightness) or HSL(Hue-Saturation Lightness)

  - (휘도/포화도/명도)로 이루어짐

   :: 휘도 - 색상원상의 각도 (ex. R=0, Y=60)

   :: 명도 0 ~ 100% (0 = Black, 100 = White)

   :: 포화도 - 0 ~ 100% ( 0 + White, Black, Gray, 100 = 원래색)


   2.2.3. Lab Color 모드

  - (밝기, Red-Green Color, Yellow-Blue Color를 x,y,z출으로 도표한후, 색상을 조절하는 방식)

  * 같은 색이어도, 출력 장치에 따라서 색이 다르게 나오는 것을 보안하기 위하여 제작됨.

  * 이미지의 (밝기/색상)이 구분되므로, 색상은 변하지 않되, 밝기만 변경할때 유용하다.

  * (색상(hue)를 유지하며 밝기를 변경하고 싶을때 유용하다. 이는 HSB/HSL과 비슷하나, Lab의 쪽이 더 폭이 넓다.)

  *(컬러이미지를 그레이스타일로 바꾸고 싶을 때 유용하다.)

 

 [Luminosity = 밝기, A channel = Red-Green, B channel = Yellow-Blue]

{변환공식} RGB->Lumonisoty 

  lLuminosity = 0.39 x Red +0.59 x Green + 0.11 x Blue


   2.2.4. YUV방식

 - (밝기 :Y성분 | 색상 :U성분, V성분) // 전형적인 비율 [Y:U:V = 4:2:2]

 *TV에 사용되는 색 표현방식

 *사람의 눈의 밝기> 색상이라는 점으 ㄹ이용

 

{변환공식} RGB -> YUV

 Y = 0.3R+0.59G+0.1B

 U = (B-Y)x0.4B

 V = (R-Y) x 0.879

 

YUV -> RGB

 R = Y+0.956U+0.621V

 G = Y+0.272U+0.647V

 B = Y+1.1061U+1.703V


   2.2.5. YIQ방식

   *YUV와 비슷하나, 다른 공식을 이용한다.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ee)신호로 인코딩 하기 위하여 제작되었다.

[변한공식} RGB->YIQ

 Y = 0.3R + 0.59G + 0.11B

 I = 0.60R + 0.28G + 0.32B

 Q = 0.21R + 0.52G + 0.31B

 

   2.2.6. 채널과 색상의 보정


 

 

2.3. 이미지

 2.3.1. 개념

 2.3.2. 표현

 2.3.3. 디지털화

 

2.4. 오디오

 2.4.1. 표현

 2.4.2. 디지털화

 2.4.3. 압축

2.5. 비디오

 2.5.1. 압축

 2.5.2. 표준

2.6. 애니메이션

 2.6.1. 개요

 2.7.2. 종류


3. 비디오 표준

 3.1. 화상전화 & 화상회의 

   3.1.1. H.261 

- [ITU-T]에 의하여 처음으로 제정된 영상 부호화의 표준

- 데이터 레이트가 64kbit/s인 ISDN(Inter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 종합 정보 통신망)를 위하여 설계되었다.

- 부호화 알고리즘은 (40kbit/s ~ 2MBit/s)사이의 영상 비트레이트로 작동할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설계>

 - 기초단위는 매크로블록

 - 각 매크로 블록은

   1. 16x16 루마 샘플 배열

   2. 4:2:0 샘플링

   3. YCbCr 색 공간을 사용한 8x8의 색차 샘플링으로 구성

 

*ISDN : 모든 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만들어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문자/그림/음성/화상/비디오/팩시밀리/전싱)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

*매크로블록(macroblock) : 선형 블록 변환 기반(예시: 이산 코사인 변환)등을 이용한 그림 & 영상 압축 포맷의 처리단위

*루마(luma) 영상의 밝기차에 대한 정보

*4:2:0 : (???????)

*YCbCr : (???????) 

   3.1.2. H.263 

- 일반 아날로그 

   3.1.3. H.323 

   3.1.4. H.324   

 

 3.2 MPEG 시스템 

   3.2.1. 구조 

   3.2.2. 특징

   3.2.3. 멀티미디어와의 관계

 


4.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압축

 4.1. 데이터압축개요 

   4.1.1. 필요성 

   4.1.2. 원리

   4.1.3. 측도   

 

 4.2. 압축기법 

   4.2.1. 특성 

   4.2.2. 엔트로피코딩의 종류

   4.2.3. 소스코딩의 종류 

 

4.3. 하이브리드 코딩의 종류


5.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5.1. QoS의 보장

   5.1.1. 개념

   5.1.2. 정의

   5.1.3. 서비스측정

   5.1.4. 멀티미디어와의 관계 

 

 5.2. 트래픽 형성과 관계 

 5.3. 멀티캐스트 서비스

   5.3.1. 개념 

   5.3.2. IP에서의 멀티캐스트

   5.3.3. 멀티캐스트 V.S. 브로드캐스트


6. 멀티미디어 통신 프로토콜

 6.1.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출처] - brunch.co.kr/@linecard/130

  6.1.1 개요 

정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참가자와 멀티미디어 세션의 (생성 / 변경 / 종료)에 대한 응용 계층 (Layer 7)의 프로토콜이며,

  SIP에서의 세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Internet Multimedia Conferences (다자간 회의)

    2. Internet Telephone Calls (음성 전화)

    3. Internet Video Sessions (영상 전화)

    4. Subscriptions and Notifications for Events (이벤트 신청 및 통지)

    5. Publications of State (상태 정보 배포)


  6.1.2. 특징

- 2000년대 초반, H.323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작 
- H.323의 보안 프로토콜인 H.236의 복잡성으로 인해, SIP으로의 전환 가속화 
- SIP은 RFC 3261로 권고되었으며,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세션 설정 프로토콜)이라 불림 


  6.1.3. 구성요소

- SIP 메시지는 가변 길이의 텍스트로 만들어 지며 (SIP헤더 / 메시지 바디)로 구성된다.

헤더는 '편지 봉투'와 같이, 뒤에올 메시지 바디의 종류를 표시 한다.

- 메시지 바디는 옵션 필드이다.

TCP(O) / UDP (O) 

- PORT : 5060, 5061


   6.1.4. 응용 


 

 6.2. RTSP (Real-Time Streaming Protocol) 

   6.2.1. 개요 

   6.2.2. 프로토콜 

   6.2.3. 응용 

 

 6.3. HLS-HTTP (HTTP Live Streaming) 

   6.3.1. 개요 

   6.3.2. 프로토콜

   6.3.3. 응용

 

 6.4. RTP/RTCP (Real Time Protocol / Real Time Control Protocol)

   6.4.1. 개요

   6.4.2. 동작과정


7. 멀티미디어 통신응용

 7.1.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7.1.1. 망구조

   7.1.2. 동작 시나리오

   7.1.3. 관련표준들

 

 7.2. 인터넷방송

   7.2.1. 정의

   7.2.2. 특징

   7.2.3. 구조

   7.2.4. 서비스 

 

 7.3. IPTV 

   7.3.1. 개념

   7.3.2. 구조

   7.3.3. 서비스


 

'학사학위 > 독학학위제 - 정보통신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A11-44] 정보통신시스템  (0) 2020.10.24
[A11-43] 전자회로  (0) 2020.10.23
[A11-45] 네트워크 및 보안  (0) 2020.10.23